아이폰17 출시일, 에어 디자인 루머 총정리
페이지 정보

본문
삼성전자의 아이폰17 갤럭시 S26 시리즈의 램 용량이 16GB로 대폭 늘어날 전망이다. 이를 통해 AI 기능은 물론, 멀티태스킹 등의 성능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삼성전자]삼성전자가 2026년 상반기에 출시 예정인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 S26 시리즈 전 모델에 16GB 램(RAM)을 기본 탑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는 최근 갤럭시 S24 시리즈가 '램 스펙 다운'논란에 휩싸인 뒤, 소비자와 시장의 비판을 의식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반면 애플은 아이폰의 램 용량을 아이폰17 12GB로 유지할 것으로 보, 하드웨어 사양 경쟁에서 적어도 메모리 부문은 삼성전자가 애플을 압도할 것으로 보인다.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맥쿼리 리서치(Macquarie Research)는 삼성전자가 내년 초 출시할 갤럭시 S26 시리즈에 기본 16GB 램을 탑재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이 소식은 IT 팁스터 '@Jukanlosreve'를 통해 알려졌다.만약 삼성전자가 이 계획을 실제로 이행한다면 약 4년 만의 대대적인 램 업그레이드다. 이것은 램 용량을 적극적으로 높이고 있는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와의 경쟁력을 높이는 아이폰17 동시에 라이벌인 애플 아이폰과의 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지는 만큼 사용자들의 관심이 상당히 크다.갤럭시 S 시리즈와 아이폰 시리즈별 램 용량. 삼성전자의 경우 2019, 2020년 일부 모델에 16GB 램을 탑재한 후 4년간 12GB 램을 제공해 '램크루지'라는 악명을 얻었다. [출처: 맥쿼리 리서치, @Jukanlosreve]앞선 몇 년간, 삼성전자는 램 용량을 늘리지 않아 사용자들의 비판을 받았다. 2019년 출시된 갤럭시노트 10에서 12GB 램이 처음 사용된 이후 갤럭시 S20 시리즈에 이르러 아이폰17 램은 12GB와 16GB(울트라 모델 한정)로 상향됐다. 하지만 그 후 다시 램을 낮춰 S21~S24 기본 모델의 램 용량은 8GB에 그쳤고 울트라 모델도 S21만 12GB일 뿐 S24까지의 울트라는 모두 램이 12GB에 그쳤다. 특히 S24부터 AI 기능을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최대 7년간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제공한다고 홍보했으면서 이를 위한 충분한 램을 제공하지 않는 것은 아쉽다는 지적이 잇따랐다.그런 소비자들의 불만이 끊임없이 제기된 탓인지 결국 S25 시리즈에서는 전 모델에 아이폰17 12GB 램을 기본 탑재했고, S25 울트라 모델은 16GB 램을 적용했다. 단, 이는 한국, 중국, 대만에 한정된 스페셜 에디션이었다.하지만 최근 생성형 AI 등 온디바이스 AI 기능이 급속히 확산되면서, 더 많은 메모리 확보가 필수적이라는 업계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16GB 램이 기본이 되면 기본 모델에서도 더 많은 AI 기능과 백그라운드 앱 구동, 멀티태스킹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가장 큰 라이벌인 애플은 램에 각박하기로 유명하다. 아이폰 15 일반 아이폰17 모델의 램은 6GB에 그쳤고 15 프로·15 프로 맥스가 8GB 램을 탑재했다. 지난해 출시된 아이폰 16 시리즈는 AI 기능인 '애플 인텔리전스'의 원활한 구동을 위해 전 모델 8GB로 램 용량을 늘렸다.IT 업계에서는 애플이 올해 하반기 출시 예정인 아이폰 17 시리즈부터 일부 모델에 12GB 램을 적용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만, 기본 모델은 여전히 8GB 램에 머물 것으로 보인다. TF 인터내셔널 시큐리티스의 궈밍치(Ming-Chi Kuo) 애널리스트는 2026년 아이폰17 아이폰 18 시리즈부터는 전 모델이 12GB 램을 탑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삼성의 16GB 램 전략에 비하면 여전히 보수적인 행보다.이 같은 예상이 현실로 나타날 경우 2026년 삼성전자와 애플 스마트폰의 램 차이는 최대 2배(애플 아이폰 17 기본 모델 8GB, 삼성전자 갤럭시 S26 기본 모델 16GB)에 달할 전망이다.업계에서는 생성형 AI 열풍이 삼성과 애플 등 글로벌 IT 기업들에게 하드웨어 스펙 경쟁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고 분석한다. 특히, 아이폰17 램 용량 확대는 온디바이스 AI 기능의 성능과 직결되기 때문에 삼성전자가 S26 시리즈에서 16GB 램을 전 모델에 적용하면 향후 판매량 증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한편, 애플은 소프트웨어 최적화와 메모리 관리 기술에서 강점을 보유해 상대적으로 적은 램 용량으로도 멀티태스킹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는 평가도 있다. 하지만 하드웨어 스펙 경쟁에서 삼성전자가 한 발 앞서 나가며, 차세대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에서 주도권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
아이폰17- 이전글폰테크 신속진행 축사 기회 안 줬다고 공무원 폭행한 구미시의원…제명 아닌 ‘출석정지’ 25.06.25
- 다음글상조내구제 밴스 부통령 “이란 핵무기 개발 상당히 지연···정권교체 원치 않아” 25.06.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